2023. 3. 22. 22:40ㆍALGORITHM/Swift
문제링크
문제
상근이는 길을 걷다가 신기한 기계를 발견했다. 기계는 매우 매우 큰 화면과 버튼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.
기계를 발견했을 때, 화면에는 A만 표시되어져 있었다. 버튼을 누르니 글자가 B로 변했다. 한 번 더 누르니 BA로 바뀌고, 그 다음에는 BAB, 그리고 BABBA로 바뀌었다. 상근이는 화면의 모든 B는 BA로 바뀌고, A는 B로 바뀐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.
버튼을 K번 눌렀을 때, 화면에 A와 B의 개수는 몇 개가 될까?
입력
첫째 줄에 K (1 ≤ K ≤ 45)가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A의 개수와 B의 개수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
1
예제 출력 1
0 1
예제 입력 2
4
예제 출력 2
2 3
예제 입력 3
10
예제 출력 3
34 55
분석
A -> B -> BA -> BAB -> BABBA
모든 B -> BA 로 바뀌고 A -> B로 바뀐다.
버튼을 k번 눌렀을 때, 화면에 A와 B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
풀이 과정
k가 주어질 때 a와 b의 개수를 출력하라
a와 b가 증가하는 규칙을 찾아서 점화식을 만들자
A -> B -> BA -> BAB -> BABBA -> BABBABAB -> BABBABABBABBA
a의 개수 = 1 0 1 1 2 3 5 ...
b의 개수 = 0 1 1 2 3 5 8 ...
i가 2부터 dp[i] = dp[i-1] + dp[i-2] 의 식을 따른다.
b의 개수를 구해서 i-1하면 a의 개수이다.
b의 규칙에서 초기값 0과 1을 정해주고 점화식을 구한다.
var map = Array(repeating: -1, count: 46)
map[0] = 0
map[1] = 1
for i in 2..<46 {
map[i] = map[i-2] + map[i-1]
}
a와 b의 개수를 출력한다.
let k = Int(readLine()!)!
print(map[k-1], terminator: " ")
print(map[k])
풀이
import Foundation
var map = Array(repeating: -1, count: 46)
map[0] = 0
map[1] = 1
for i in 2..<46 {
map[i] = map[i-2] + map[i-1]
}
let k = Int(readLine()!)!
print("\(map[k-1]) \(map[k])")
결과
📂 정리
이번 문제는 너무 간단해서... 빠르게 패스~
나는 테이블을 연습하기위해서 배열을 사용해서 풀었지만
더 빠른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면 그냥 덧셈을 이용한다.
이번 문제는 너무 간단해서 그냥 덧셈으로 푸는 게 더 빠른 거 같다.
import Foundation
let k = Int(readLine()!)!
var a = 1
var b = 0
for _ in 0..<k {
let tmp = b
b += a
a = tmp
}
print("\(a) \(b)")
'ALGORITHM > Swif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고리즘] Swift -백준 #2579(계단 오르기) -DP (0) | 2023.03.23 |
---|---|
[알고리즘] Swift -백준 #9095(1, 2, 3 더하기) (0) | 2023.03.22 |
[알고리즘] Swift -백준 #1010(다리 놓기) -DP (0) | 2023.03.22 |
[알고리즘] Swift -백준 #10844(쉬운 계단 수) -DP (0) | 2023.03.20 |
[알고리즘] Swift -백준 #11048(이동하기) -DP (0) | 2023.03.20 |